
형편이 넉넉하지 않던 대학생 시절 저렴한 가격에 맛까지 있으면 제게는 더 바랄 게 없는 최고의 음식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저도 중국 음식을 먹을 때만큼은 따로 고려한 기준이 하나 더 있었습니다. MSG가 들었는지 아닌지였습니다 '글루타민산나트륨'의 준말은 MSG가 몸에 해롭다는 건 분명 제 주변에서는 상식이었죠 가능하면 MSG가 들어있지 않은 음식을 골랐고, 밥을 먹고 나서야 내가 먹은 음식에 MSG가 들어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땐 수명이 며칠 줄어들기라도 한 것처럼 겁에 질렸었죠. 차이나타운에 가서 중국 음식을 거하게 먹고 나면 이상하게 몸이 찌뿌둥했고 두통이 왔으며 거의 예외 없이 팔다리가 쑤셨습니다. 이제는 그때의 두통을 비롯한 증상들이 제가 먹은 음식 탓이 아니라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하..

비만의 메커니즘? 비만은 간단히 말해 섭취하는 열량이 사용하는 열량보다 더 많아서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적게 먹고 운동을 많이 하면 살이 빠지겠지만. 실제로 체중 감량은 그렇게 생각보다 쉽게 되지 않습니다. 저도 매년 다이어트하면서 느끼는 점이고요! 우리 몸 자체가 필요한 것 이상의 열량을 섭취하고 저장해서 어려운 시기에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진화 생리학적 배경은 생존에 매우 유리한 특징이었으나 먹을 것이 매우 풍부해진 현대 사회에는 반대로 여러 가지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모두가 비만해진 것이 아니라 일부 사람이 특히 더 비만해진 것도 사실입니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밝히는 한편 비만의 메커니즘을 규명해서 더 효과적인 치료 방법 개발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

미국에서 비만에 의한 의료비용은 250조 원이 넘으며, 이는 전체 의료지출의 21%에 달합니다 미국인들이 고가의 대용식품에서 스마트폰의 앱에 이르는 다이어트를 위한 제품에 사용하는 돈은 70조 원에 가깝습니다 우리는 자의 반 타의 반에 의해 뉴스와 SNS, 그리고 여러 사람들에게서 체중관리에 관한 조언을 듣습니다 미 공중위생국이 2001년 발표한 이래, 비만이 전염병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지 15년이 넘었습니다 비만에 대처하고자 하는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7일 미국 의학협회지에 발표된 연구는 미국 남성의 35%, 여성의 40% 그리고 아동과 청소년의 17%가 비만이라는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더욱 걱정되는 사실은 여성과 청소년에게서 이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오늘..